|
 |
|
 |
|
|
출처 : http://www.coolenjoy.net/bbs/37/130621
안녕하세요 붸ㄺ 끼입니다.
키마게에 서식한지 얼마안된 신입인데 키캡에 대해 한번 속시원하게 정리된 글을 올려보려고 합니다.
작성하기에 앞서 모든 키캡의 재질과 각인방식이 아니라 많이 사용하고 널리 알려진 방식을 정리하겠습니다.
바쁘신 분들을위해 마지막부분에 한줄요약을 적어두겠습니다
1.키캡의 재질
1.1 ABS
- 장점
값이 저렴합니다
가공하기가 PBT에 비해 용이한편입니다
- 단점
금방 마모가되어 번들번들거림이 생깁니다
특히 손에 땀이많은 편이면 그 시기가 더 빨리오게됩니다
1.2 PBT
- 장점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나 ABS에 비해 번들거림이 오는 시기가 늦습니다.
- 단점
고급키보드에 들어가는만큼 단가가 비싼편입니다.
* 추가사항
무조건 ABS가 저렴하고 무조건 PBT가 비싸거나 그러지만은 않습니다
공통적으로 키캡의 가공방식에 따라 공통적으로 뽀송뽀송한 촉감과 거칠거칠한 촉감이 있습니다.
이건 제조사마다 다르기에 고려를 하시기 바랍니다
같은 키캡이라도 높낮이에따라 가볍거나 묵직한 느낌이 있습니다
그 외 금속키캡도 있고 만들 수 있다면 목재로도 만들수도 있으니 여러가지 재질이 있을 수 있습니다
2.각인방식
2.1 실크인쇄
보통 저가형 키보드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염료를 뿌리고 그 위에 코팅을 합니다
- 장점
매우 저렴한 단가
매우 자유로운 표현방식
- 단점
각인이 만져지기 때문에 잘 지워집니다.
2.2 레이져 인쇄
레이져로 글자부분을 태워서 각인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단가가 저렴합니다
잘 지워지지 않습니다
- 단점
검은색 각인이면 괜찮지만 흰색각인인 경우 때가 타거나 변색이 되어 키캡색과 구분이 모호해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레이져로 태우기 때문에 색깔이 제한적입니다
회사에 따라 다르지만 염료를 두껍게 칠하는곳이 있고 얇게 칠하는곳이 있기에 촉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2.3 염료승화
키캡위에 고온,고압으로 염료를 침투시켜서 각인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플라스틱에 염료가 스며들기 때문에 각인이 지워지지 않습니다
위의 이유로 인해 각인이 만져지지 않습니다
최근 밝은색으로도 염료승화를 할 수 있게 됐습니다
- 단점
열을 가하기때문에 필연적으로 내열성이 높은 PBT를 쓰기에 단가가 높습니다
공해가 일어납니다
2.4 이중사출
서로 다른 플라스틱 두가지에 각인을 하는방식으로 한쪽엔 각인을 파고 한쪽엔 각인을 볼록하게 만들어 둘을 조립한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명 더블샷이라고 불립니다
- 장점
각인이 지워지지않고 만져지지 않습니다. 염료승화와는 다른개념으로 지워지지않죠
각인이 좀 더 선명하여 가독성이 높습니다
- 단점
단가가 비쌉니다.
기존과는 다르게 한 금형에서 찍어내는게 아니라 금형 두개를 써서 하나는 각인파고 하나는 각인채운 금형이기에 좀 더 비쌉니다
이중사출은 보편적으로 가공하기 쉬운 ABS를 사용하지만 몇몇 브랜드는 PBT로 이중사출을 하지만 가격이 좀 나가는편입니다
2.5 측각
키캡의 손가락이 닿는면이 아닌 그 아래 경사면에 각인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측면을 만지지 않는 이상 각인이 잘 지워지지 않습니다
- 단점
가독성이 뛰어난 편이 아닙니다.
그 이유는 측면에 각인이 되기때문에 글자크기가 작기때문입니다
2.6 무각
말 그대로 아무각인도 하지않은 상태입니다
- 장점
절대로 각인이 지워질일이 없습니다. 각인자체가 없기때문이죠
키캡 고유의 색을 즐길 수 있습니다
- 단점
가독성이 매우나쁩니다. 각인이 없는게 그 이유가 됩니다.
3. 높이
3.1 체리높이
체리프로파일높이 라고 하며 높이가 낮은것이 특징입니다
이 높이는 정방향 스위치에는 잘 맞지만 역방향일시 led나 스위치 경사면으로 인해 간섭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두께가 두껍고 역방향이면 간섭이 일어날 확률이 높습니다
넌led 제품에 많이 쓰입니다
3.2 마제높이
체리OEM 높이라고도 하며
이 높이는 체리높이보다 조금 더 높은 높이로 역방향이나 정방향 그리고 LED 유무 상관없이 호환이 잘 됩니다.
4.배열
4.1 KR배열
일명 역ㄴ자 엔터키와 짧은 스페이스바와 작은 백스페이스 키 그리고 한영,한자키가 특징입니다
4.2 US배열
-자 엔터키와 긴 스페이스 한영,한자키가 없고 백스페이스가 길쭉한편입니다
대부분의 키캡은 US배열에 호환됩니다
물론 문자열만은 상관없습니다
후 원래 간단하게 적어보려고 했는데 키캡을 바꾸려는 분들을 배려해서 높이와 배열을 추가하다보니 더 길어지는군요
부디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틀린점이나 오탈자 등은 제보해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간단요약입니다
간단요약
1.abs는 가볍고 싸고 번들거릴 수 있다
2.pbt는 비싸고 잘 번들거리지 않는다
3.실크인쇄는 글씨쓰고 위에 스티커 붙인개념이다
4.레이져는 글씨쓰고 레이져로 태워서 각인한다
5.염료승화는 지우개에 볼펜으로 글씨쓰고 며칠 뒤 보면 잉크가 스며들어 지워지지않는 개념이다
6.이중사출은 프라모델 조립하듯 음각,양각의 각인을 조립한 개념이다
6.측각은 측면에 각인해서 지워지지는 않지만 글씨보기가 힘들다
7.무각은 말 그대로 글씨가 없어서 외워서 쓰지만 키캡 고유색깔을 즐기기엔 좋다
8.체리높이는 낮아서 역방향 스위치나 led가있다면 간섭이 일어난다.
9.마제높이는 높아서 정방향이나 역방향 그리고 led를 가리지않는다
10.KR배열은 역ㄴ자 엔터배열이면 이 배열이다
11.US배열은 거의 대부분 기계식키보드는 이 배열을 쓴다
|
|
|
|
|